티스토리 뷰

반응형

마젤란 은하는 포르투갈의 탐험가 페르디난디 마젤란이 발견을 하여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마젤란은 선원들을 데리고 세계 일주를 하는 중 은하수가 수많은 별들로 구성이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현재 그의 깨달음으로 인하여 은하계를 바라보는 우리의 이해의 폭이 넓어졌습니다. 오늘은 마젤란 은하의 특징과 역사, 관측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썸네일
마젤란은하의 특징, 역사, 관측방법

 

1. 마젤란은하의 특징

마젤란은하는 마젤란성운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은하수 근처에 위치하고 있으며 두 개의 불규칙한 왜소은하입니다. 이름은 16세기 초 세계 일주 항해를 하던 페르디난드 마젤란의 이름을 딴 것입니다. 두 개 중 큰 것을 대마젤란은하(LMC)로 부르며 지름 약 14,000광년으로 100억 개의 별을 포함하며 지구에서 약 163,0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합니다. 가스와 먼지의 농도가 높고 뜨겁고 활발한 별 형성 지역에 많습니다. 또한 수십만 개의 오래된 별들이 밀집되어 있는 구상성단을 포함하고 있고 중심부를 관통하는 막대 모양의 구조를 가졌습니다. 둘 중 작은 것을 소마젤란은하(SMC)라고 부릅니다. 지름 약 7,000광년으로 70억 개의 별을 포함하며 지구에서 약 2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합니다. LMC에 비하여 낮은 질량으로 구성이 되었고 모양도 불규칙한 형태입니다. 은하수처럼 중앙 팽대부와 나선 팔은 없지만 대신 별들이 더 정신없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또한 상당한 양의 자외선 복사를 생성하기 때문에 주변 가스를 이온화시켜 형형색색의 뜨겁고 거대한 성운을 발생시키기도 합니다.

 

2. 마젤란은하의 역사

마젤란은하 역사는 고대의 중국인, 페르시아인, 호주 원주민을 포함한 다양한 문화에서 관측되습니다. 그러나 마젤란은하가 유럽 천문학자들에 의해 공식적으로 기록된 시기는 16세기 초입니다. 최초의 세계 일주를 이끈 포르투갈의 탐험가 페르디난드 마젤란은 1519년에 남반구를 항해하던 중 두개의 은하를 관찰했습니다. 그는 두 개의 '빛 구름'이라고 표현을 했습니다. 나중에서야 그의 이름을 따서 '마젤란은하'라는 이름이 지어졌습니다. 마젤란의 최초 관측에도 불구하고 마젤란은하는 18세기까지 활발한 연구가 되지 않으며 18세기가 되자 천문학자들은 망원경을 이용해 밤하늘을 관측, 탐사하기 시작했습니다. 마젤란은하를 연구한 천문학자는 프랑스의 니콜라스 루이 드 라카이유입니다. 그는 18세기 중반 희망봉 원정 중 마젤란은하를 관측하게 됐습니다. 최초로 남반구에 떠있는 별에 대해 카탈로그를 만들었고 마젤란은하에서 발은 별 대부분에 이름을 붙였습니다. 20세기에 천문학자들에 의해 마젤란성운은 깊게 연구되었으며 특히 별의 개체군, 별 형성, 은하 구조 영역에서 공을 들였습니다. 지상 망원경과 허블 망원경과 같은 우주 망원경을 사용한 관측은 대마젤란은하와 소마젤란은하의 성질과 특징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밝혀냈습니다..

 

3. 마젤란은하 관측방법

그렇다면 마젤란은하의 관측방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마젤란이 망원경이 없던 시절에 발견을 했으니 우리도 망원경 없이 육안으로 관측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어떤 별이 무슨 별자리이고 무슨 은하인지 구분을 못하기 때문에 알려드리겠습니다. 마젤란은하는 보통 남반구에서 볼 수 있으며 도시나 마을에서 떨어진 어두운 하늘에서 볼 수 있습니다. 대마젤란운(LMC)은 황새치자리 쪽에서 관측이 되며 남쪽 지평선 근처에서 볼 수 있습니다. 소마젤란운(SMC)은 큰 부리새별자리에 위치하며 작고 흐릿한 점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마젤란은하는 남반구의 겨울철(6~8월)에 관측하기 가장 좋은 시기입니다. 하늘이 까맣고 높아 더 오랜 기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육안으로 찾기가 어렵다면 쌍안경, 작은 망원을 이용하여 더 자세하게 관측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아쉬운 점은 북반구에서는 잘 볼 수 없으며 극남위도에 있는 남미, 남아프리카, 호주 일부 지역에서만 볼 수 있습니다. 

 

4. 결론

알면 알수록 신비하고 상상력을 자극하는 성운 중 마젤란은하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마젤란은하는 천문학자가 아닌 일반인도 육안으로 관측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친근하게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우주와 천문학에 대해 더 자세하게 알아가는 시간이 되었으며 별을 통하여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