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썸네일
토성의 아름답고 신비한 이야기

 

1. 토성의 궤도와 구조

토성은 태양계의 대부분의 행성들처럼 태양의 주위를 공전합니다. 완벽한 원이 아니라 타원형 모양의 궤도로 토성과 태양의 중력에 의해 궤도가 결정됩니다. 토성이 태양에 가까워질수록 중력의 영향으로 속도가 빨라지고 멀어질수록 속도가 느려집니다. 토성이 태양 주위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기간은 약 29.5년(10,759일)입니다. 생각보다 긴 기간은 타원형 모양의 궤도를 진입해야하기 때문입니다. 토성과 태양간의 거리는 근일점(가장 가까운 지점) 기준으로 약 13억 5천만 킬로미터이며, 원일점(가장 먼 지점) 기준으로 약 15억 1천만 킬로미터로 밝혀졌습니다. 토성은 목성과 비슷하게 수소와 헬륨 가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태양계 행성중 밀도가 가장 낮습니다. 토성의 중심핵의 밀도는 높은 편이지만, 토성 자체의 밀도는 0.69g/mL으로 지구에 비교했을 때 95배에 이릅니다.토성의 고리는 수십억 개의 얼음과 암석의 작은 입자들로 구성되었습니다. 이 고리들은 토성의 중력에 의해 파괴된 달의 잔해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토성 고리는 망원경으로 지구에서 볼 수 있습니다.

 

2. 토성의 고리

토성의 고리는 토성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입니다. 고리는 작은 알갱이부터 큰 덩어리까지 크기가 다양한 수십억 개의 바위와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고리는 평균적으로 약 10미터의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두께는 매우 얇은 15km로 추정됩니다. 토성 중심부에서 280,000km (175,000 마일)까지 퍼져있습니다. 우리가 지구에서 보는 것처럼 가깝지가 않습니다. 특이한것은 토성 고리의 거리에는 이름이 있습니다. 몇 개의 주요 그룹으로 나누었는데,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고리 그룹은 D 고리, 그다음 가까운 것은 C 고리, B 고리, A 고리라고 이름을 붙였습니다.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A 고리와 B 고리 사이의 수천km 폭을 카시니 간극입니다. 또한. A고리 내부에는 앵케 간극이 있으며 B고리와 C고리 사이는 맥스웰 간극이라고 부르며 A와F고리의 사이는 켈러 간극이라고 부릅니다.토성의 고리는 생각보다 어린 나이로 몇 억 년 정도밖에 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추정합니다. 고리는 토성의 중력을 받고 찢어진 달일 확률도 있으며 다른 물체의 잔해로부터 형성되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그 파편들이 모여 오늘날 우리가 보는 토성의 고리가 된 것 입니다. 고리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과정을 겪습니다. 각각의 조각들이 서로 충돌을 하고 부서지며 다시 형성되기를 반복하기 때문입니다. 신기한 점은 아주 작은 조각들의 일부는 중력에 의해 고리에서 튕겨나와 대기의 일부로 존재하기도 합니다.

 

3. 토성 탐사

토성은 아주 오랜 기간동안 탐사연구의 대상이 되어 왔습니다. 1973년의 파이어니어 11호는 토성을 방문한 최초의 탐사선이며 1977년에는 보이저 1호가, 1979년에는 보이저 2호가 뒤를 이어 발사되었습니다. 보이저 1호는 발사 이후 45년째 비행중에 있으며 인류 탐사선 중 가장 멀리 비행을 하는 중입니다. 이런 탐사연구로 인하여 사람들에게 행성과 달에 대한 첫 번째 근접 관찰을 제공하였습니다. 또한 토성이 가진 고유의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에 폭을 넓히게 해준 계기가 되었습니다. 2004년에는 카시니-호이겐스 탐사선이 지구를 떠난지 7년만에 토성에 도착했고 예정된 궤도에 진입을 성공했습니다. 카시니는 토성의 고리와 달에 진입하여 이례 없는 광경을 보여주었고 엔셀라두스 위성에서 수증기를 발견하였으며 다른 곳에서는 거대한 폭풍을 발견하기도 했습니다.토성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이유는 가스 행성을 연구함으로써 태양계의 형성과 진화에 대해 더 많이 배울 수 있습니다. . 또한 우리가 지구밖의 생명체의 잠재력과 가능성에 대해 더 잘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과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그래서 탐사를 계속 진행하기 위해 새로운 임무와 탐사선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토성탐사와 그 외 행성에 대한 탐사는 우주 과학을 위한 중요한 분야입니다. 또한 우리가 살고있는 태양계의 역사와 속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